본문으로 바로가기
반응형

스마트팩토리 S/W 개발자 양성과정중에 C# 초반 과정이 끝나고,

새로운 강사님이 오셔서 데이터베이스 수업을 듣게 되었습니다.

 

 

이번에는 데이터베이스를 공부하기위해 SQL서버랑 SSMS 설치를 실습해보겠습니다.

 

1. SQL Sever 설치

구글에 'SQL 다운로드'를 검색해주고 마이크로소프트 사이트로 들어갑니다.

미디어 다운로드를 눌러주시고

 

 

 

 

 

 

 

 

2. SSMS(SQL-Server-Management-Studio) 설치

 제일 먼저 SQLDATA 폴더를 만들고 하위폴더에 백업, 데이터폴더를 만듭니다. 저는 윈도우가있는 C가 아니라 백업용 파일이었던 D드라이브에 설치했습니다. 혹시나 컴퓨터를 사용할 수 없을때 C에 저장되어있으면 백업받을 수 없다고했나.. 해서 비교적 안전한(?) D드라이브에 설치했습니다.

 

구글에 'SSMS 다운로드'를 검색해서 마이크로소프트 사이트로 접속합니다.

SSMS 다운로드를 클릭해주시고요

저희는 개발자 모드로 사용합니다. 비교적 많은 기능을 쓸 수 있고 무엇보다 '무료'이기때문이죠

ISO 패키지를 체크해주시고 다운로드 받아줍니다.

설치화면이 떴을때 설치하면 완료!

성공!

위에서 다운로드 받으면 폴더에 실행파일이 있을 것입니다. .exe파일에서 우클릭후에 '탑재'를 클릭해줍니다.

그럼 PC 드라이브에 DVD 드라이브가 새로 떠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DVD 드라이브(E)에 들어가서 setup 파일을 실행시켜줍니다.

왼쪽 메뉴의 '설치'를 클릭 한 후, 맨 위에 새 SQL 독립 실행형을 설치를 클릭합니다.

저희는 무료로 쓸 수 있는 개발자모드로 설치해줍니다.

저희는 개발자모드로 실습만 할것이라서 라이센스에 동의해주고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방화벽은 문제될것이 많이 있지는 않으니 넘어가줍니다.

본인에게 필요한 기능을 선택해주고 설치하면됩니다.

대신, 나중에 다른걸 설치하고 싶다면 다 제거한 후에 다시 설치해야하니 이 점 참고하셔야합니다.

이 부분도 그냥 넘어가주시고요

이 부분도 넘어갑니다

제일 처음 설치할때 데이터 디렉터리에서 그 폴더들을 지정해줍니다

서버 구성 탭에서 혼합 모드를 클릭해준 다음에 본인의 암호를 설정한다음 현재 사용자 추가를 클릭해줍니다. 

다음 화면에서 테이블 형식 모드를 클릭하고, 현재 사용자 추가를 클릭한 다음 넘어가줍니다

지금까지 설치하기위해 지정했던 기능요소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부 확인하셨으면 설치를 클릭해줍니다.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닫기를 눌러줍니다.

 

 

3. 서버 연결하기

처음에 SSMS를 실행하면 잘 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서버를 잡아줘야하는데요, 시작 메뉴에서 'SQL Server 2019 구성 관리자'를 실행해줍니다.

SQL Server 네트워크 구성 -> MSSQLSERVER에대한 프로토콜 -> TCP/IP를 실행해줍니다.

TCP/IP 속성에서 프로토콜의 사용을 예, 본인의 IP주소의 사용을 예, 127.0.0.1의 사용을 예로 바꿔줍니다.

그리고 구성 관리자에서 SQL Server 서비스에서 SQL Server의 우클릭 후에 시작을 눌러줍니다.

이제 다시 SSMS를 실행해줍니다.

자신의 ip를 입력해서 본인이 방금 전한 암호를 입력해줍니다.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오늘은 SQL 서버와 SSMS 설치하는 법을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은 DB 기초를 익혀보고 테이블을 만들어보는 실습을 해보겠습니다.

 

 

 

 

 

 

반응형